연구활동
제목 | [2020_02] 학교 밖 자원을 활용한 디지털 학습 생태계 조성 | 2021-03-24 |
---|---|---|
아래 내용은 연구보고서의 요약 내용입니다. 재단법인 우리교육연구소의 자료는 정책 상 홈페이지에 공개되어 있지 않습니다. 연구보고서의 열람을 원하시는 분들께서는 1. 홈페이지의 웹회원으로 가입하고 로그인하신 후 [웹회원 가입하기▶] 2. 아래의 자료요청서를 다운로드하여 작성한 다음 3. 이메일(educrit@gmail.com)으로 보내주시면 내부 검토 후 빠르게 연락드리겠습니다. [자료요청서 다운로드 ▼] |
||
학교 밖 자원을 활용한 디지털 학습 생태계 조성
1. 연구 배경ㆍ필요성 및 목적 가.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기술 자원 확보 필요] 학교밖 디지털 자원 활용의 필요성 2018년 서울시교육청에서 ‘인공지능 활용 영어학습 플랫폼’이라는 이름으로 추진된 정책은 초중고등학생의 영어노출시간 확대를 목표로 하였으나, 연구의 과정에서 전국민의 외국어 학습비용 절감과 평생교육의 활성화의 필요성과 가능성이 제기됨. 성능이 빠르게 발달하고 있는, 외국어로 대화가 가능한 대화형 인공지능기술을 초중고등학교 학생 뿐만 아니라, 대학생을 포함한 성인의 외국어학습, 팽생학습 교육비 부담 절감 및 교육불평등 완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정책의 사례를 비추어 본다면, 인공지능 등의 학교밖 ‘디지털’ 자원의 활용은 ‘디지털 학습 생태계 조성’을 위한 조건이라 할 수 있다. 2) [콘텐츠 자원 확보 필요] 학교밖 디지털 자원 활용의 필요성 가르치고 배우는 활동에 도움이 될 콘텐츠가 인터넷에 많다는 사실은 이제 누구나 알고 있지만, 어디에 어떤 콘텐츠가 있는지, 누가 무엇을 만들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의 부족과 외국어로 제작되어 있어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의 해결이 필요하다. 3) [인적 자원 확보 필요] 학교밖 디지털 자원 활용의 필요성 디지털 학습생태계를 일국적인 수준으로 추진하지 않고 글로벌 학습생태계의 중심 또는 허브의 역할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글로벌 디지털 학습생태계의 구축을 통해, 전세계에 거주하는 글로벌 학습자에게 우리만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국내에 거주하는 한국어교육 전문가와 해외에 거주하는 ‘한국어 학습자’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글로벌 단위의 한국어교육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하다. 국내에 거주하는 ‘원어민’ 뿐만 아니라, 해당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그 나라에 거주하는 국민을 외국어학습의 전문가로 활용하여, 각국의 언어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peer to peer 글로벌 외국어학습 네트워크’를 디지털 학습생태계 내에 구축할 필요가 있다. 나. 연구 목적 1) 디지털 학습생태계 조성과 활성화를 위한 조건을 탐색한다. 2) 디지털 학습생태계 조성을 위해 활용가능한 학교밖 민간자원의 사례를 탐색한다. 3) 학교밖 민간자원 활용을 통한 디지털 학습생태계 조성 방법 및 전략을 수립한다. 2. 선행 정책연구 현황 및 해결하고자 하는 쟁점 분석 가. 선행 정책연구 현황 1) 영어노출시간 확대를 위한 인공지능 활용 정책 연구 : 서울교육청(2018,2019) 정책 2) 실시간 데이터와 지능정보기술 활용을 위한 데이터 플랫폼 활용 과학교육 정책 연구 : 교육부/한국과학창의재단 (2019, 2020) 정책 3) 인공지능 교육을 지원하는 AI 교육 플랫폼 연구 : 서울교육청(2018,2019),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창의재단 (2020) 연구 나. 제기되는 쟁점 1) 공교육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필요한 기술자원 확보 전략은 무엇인가? 2) 공교육 밖에서 자라는 지능정보기술 자원의 공교육 활용 전략은 무엇인가? 3) 글로벌 콘텐츠를 활용하는 공교육의 원칙과 전략은 무엇인가? 4) 산업 연계형 교육과정/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공교육의 원칙과 전략은 무엇인가? 모범 사례는 어떻게 창출할 수 있는가? 5) 개별 교과교육 영역에서 추진되고 있는 디지털 전환 정책을 지원하고 확장하는 전략은 무엇인가? 6) ‘학교밖 디지털 자원’의 적극적인 활용은 공교육 강화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 다. 용어 정의 1) 학교밖 민간자원 ‘학교밖 민간자원’은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실행주체들이 생산하지 않는 자원 중, 고등교육기관, 전문연구기관, 그리고 민간의 영역에서 생산되고 있는 자원을 의미하며, 학교내의 활동을 활성화하거나 질적/양적 수준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자원으로 한정한다. 2) 학교밖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실행을 담당하는 교육기관 뿐만 아니라, 고등교육/평생교육의 실행을 담당하는 교육기관의 외부라는 의미로 사용한다. 3) 디지털 학습생태계 루만의 일반체계이론의 관점에 따라 디지털 학습생태계의 구성을 개념화해보면 가)학습생태계 내부의 중심과 외부와의 경계, 나)외부의 다른 시스템들과의 관계를 관리하는 인터페이스, 그리고 다)학습시스템의 시간에 따른 변화로 잠정적인 개념화가 가능하다. 이 관점에 따라 각 구성요소의 예상되는 사례와 아이디어를 정리해보면, 가-1)디지털 학습 생태계의 중심은 ‘국가수준 교육과정’으로, 가-2)외부와의 경계는 ‘가르치고 배우는 활동의 여부’로, 나-1)관계맺는 외부의 다른 시스템은 ‘IT 생태계’로, 나-2) 외부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는 ‘인력, 자원, 서비스의 교류를 관리하는 인터페이스’로, 다) 시간에 따른 변화는 ‘기술의 발달과 전체 사회 시스템의 요구 변화’에 적응적인 독립된 시스템으로 개념화해볼 수 있다. 라. 주요 연구내용 1) 공교육 강화를 위해 추진된 ‘학교밖 자원’ 활용 정책의 한계 및 확장 가능성 연구 2) 디지털 전환시대의 교수학습자원의 특징 및 디지털 학습생태계 활용 가능성 연구 3) 디지털 전환 사례의 한계 및 확장 가능성 연구 4) 디지털 전환시대, 학교밖 민간자원 활용을 통한 디지털 학습생태계 조성 및 활성화 방안 연구 3. 연구추진방법
가. 문헌분석 1) 교육계에서 추진된 ‘학교밖’ 자원 활용 문헌 분석 2) 선행 정책 및 연구 문헌 분석 3) 기존 연구에서의 혁신과제 검토 나. 사례조사 1) 공교육에서 ‘학교밖’ 자원 활용 정책 사례 조사 2) 디지털 전환 시대, 교수학습자원 확장을 위한 정책 사례 조사 3) 교과교육 영역에서의 디지털 전환 정책 사례 조사 다. 원자료 및 이차자료 분석 1) 주요 에듀테크 정책의 최근 현황에 대한 비교 분석 2) 교과교육 영역에서 추진중인 디지털 전환 정책의 현황 분석 3) 주요 디지털 학습생태계 정책의 현황 진단 라. 자문회의 1) 시도교육청/교육부 에듀테크 추진 현황 진단 2) 디지털 학습생태계 조성을 위한 혁신과제 도출 관련 자문회의 개최 마. 기대효과 1) 디지털 학습생태계 조성을 위한 학교밖 민간자원 활용 전략 및 방법 도출에 활용가능하다. 2) 사회적 차별을 극복하는 전국민 대상의 평생교육 디지털 학습생태계 조성을 위한 전략 및 실행 방안 도출에 활용가능하다. 3) 글로벌 수준의 디지털 학습생태계 조성과 활성화를 위한 민간자원 활용 전략 및 방법 도출에 활용가능하다. 4) 디지털 전환시대, 공교육 학교시스템 혁신을 위한 함의 도출이 가능하다. |
||
이전글 | [2020_01] 교과별 학습 활동 분석에 따른 미래학교 인프라구축 방안 연구 | |
다음글 | [2021.06.01] 핀란드 대학입학제도 개혁과 한국에의 시사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