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활동
제목 | [2020_01] 교과별 학습 활동 분석에 따른 미래학교 인프라구축 방안 연구 | 2021-03-24 |
---|---|---|
아래 내용은 연구보고서의 요약 내용입니다. 재단법인 우리교육연구소의 자료는 정책 상 홈페이지에 공개되어 있지 않습니다. 연구보고서의 열람을 원하시는 분들께서는 1. 홈페이지의 웹회원으로 가입하고 로그인하신 후 [웹회원 가입하기▶] 2. 아래의 자료요청서를 다운로드하여 작성한 다음 3. 이메일(educrit@gmail.com)으로 보내주시면 내부 검토 후 빠르게 연락드리겠습니다. [자료요청서 다운로드 ▼] |
||
교과별 학습 활동 분석에 따른 미래학교 인프라구축 방안 연구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가. 연구의 배경 - 경남형 미래교육 정책 추진 - 미래교육을 위한 경남형 교육정책 기획 - ‘교육혁신을 넘어 미래교육으로, 아이들의 미래를 책임지는 경남교육’을 위한 미래교육의 영역별 추진 전략 수립 및 정책 의제 및 역점과제 기획 개발 - 경남형 미래형 교육체제 구축 - 경남의 지속가능한 미래학교, 미래교육 체제 구축 - 일반학교로 확산가능한 미래형 교육 환경 기반 구축 - 미래교육테마파크 설립 추진 지원 - 물리적 환경과 디지털 환경을 융합적으로 활용하는 교육과정 콘텐츠를 연구·개발하여 학교에 보급하기 위한 거점 마련 - 학생의 미래역량 강화, 교원의 미래교육 핵심 역량 성장 지원, 학부모·도민의 미래교육 인식 대중화 등 미래학교, 미래교실을 체험·전시하는 교육문화 공간 마련 - 미래사회에 대비하는 학교 현장 변화의 허브기관인 미래교육테마파크 설립 추진 지원 나. 연구의 목적 - 학습활동 분석 과정과 결과에 기반한 경남형 미래교육 환경 구축 - 미래역량중심의 수업혁신, 미래형 교육체제 구축, 체험중심의 과학·수학·정보교육 정책 구현을 위한 기초 연구 및 실현가능한 정책 입안 연구 - 교육과정 중심의 학습 활동 분석을 통한 체계적인 수업 혁신의 방향 수립 -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인프라 구축 방향 수립 - 융합 기반의 미래지향적 교과 수업 운영 방향 및 적용 방안 모색
다. 연구의 추진 내용 - 역량 함양을 위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별 학습 활동 분석 및 유형화 - 핵심역량 및 교과 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별 학습 활동의 발전 모델 제시 - 융합교육 기반(교과 간 융합 교육과정) 미래교실의 학습 활동 유형화 - IoT환경 및 지능형 학습플랫폼 활용에 따른 새로운 학습 활동 유형화 - 미래학교, 교실은 학생 중심으로 교육 공동체가 다양한 생활요소가 반영된 공간으로 각각의 활동을 유형화하고 그에 따른 인프라 구축 및 지원 방안 제시 - 디지털 데이터 기반의 미래교육 환경 구축에서 나아간 학습활동의 분석을 기반으로 구체적인 구축 방향 및 방안 제시 - 학습 활동 유형에 따른 인프라 구축 방향을 정립하고 그에 따른 인프라 구축 가이드라인을 기존 학교시설 활용 안부터 기자재 신규 도입 및 시설 - 신축 과정에 이르는 단계별 과정으로 제안 - 가변형, 성장형 공간 및 인프라의 지속가능한 활용 방안 라. 연구의 방향 □ 연구의 방향 -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에 따른 학교 시설 재구조화 방향 정립 - 수업 혁신 기반의 교육 현장 재구조화를 위한 기반 연구 실시 - 교육과정 기반의 학습 활동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미래지향적인 교수학습법의 방향과 실제적인 지원을 위한 인프라 구축 방안 구안 - 학교 현장에 실제적인 적용과 지원을 위한 단계별 구현 방안 모색 - 교실 현장에서 구현 가능한 실제적인 가이드라인 개발 2. 주요내용 가. 2015 개정 교육과정 분석 기반의 미래교실 학습 활동 유형화 및 모델 구안 - 수업혁신을 위한 국내외 미래학교·미래교실 인프라 구축 사례 분석 -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의 교과별 학습 활동 분석 및 유형화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공통 교육과정(초등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 및 고등학교 공통 과목(통합사회, 통합과학)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분류에 따라 학습 활동 분석에 기초한 미래학교 인프라 구축 방법 및 모델 구안 * (교과유형별 방안 제시) 본연구에서는 개별 교과목별로 학습활동 분석 방법 및 미래학습환경 적용방법을 적용하지 않고, 개별 교과목들을 유형화(인문사회계열, 자연공학계열, 예체능 계열 등)한 뒤 교과유형별 방안을 제안함 · 분석 범위 및 방법: 공통 교육과정 및 고등학교 공통 과목을 미래학습환경 적용방법 등을 기준으로 유형화하고, 유형에 따른 학습분석/미래학습환경 인프라 구축 방안 제시 - 핵심역량 및 교과 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유형별 학습 활동의 발전 모델 제시 · 미래 학습환경에서 확보가능한 학습자의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유형별* 학습활동 발전 모델 제시 · 공통 교육과정 및 고등학교 공통 과목을 미래학습환경 적용 가능성, 학습분석 방법에 따라 유형화하고 이를 기준으로 미래학습환경 및 교과유형별 학습활동 발전모델 제시 - 융합교육 기반(교과 간 융합 교육과정) 미래교실의 학습 활동 제안 및 유형화 · 교과유형별/교과간 융합활동이 가능한 미래학습환경에서의 학습활동 제안 · 미래학습환경에서의 적용가능성, 학습활동 분석 가능성 등을 기준으로 융합교육 기반 미래학습환경을 유형화함 - IoT환경 및 지능형 학습플랫폼, 초연결·지능화 된 수업 도구 활용에 따른 새로운 학습 활동 제안 및 유형화 · 다양한 지능정보기술, 학습플랫폼, 교수학습지원도구를 활용하는 교과유형별 학습활동 제안 · 교과유형별 학습활동을 다양한 지능정보기술, 학습플랫폼, 교수학습지원도구 활용방법을 기준으로 유형화함 - 미래학교, 교실에서의 학습 활동을 교육공동체의 생활요소가 반영된 공간을 정의하고, 해당 공간에서의 활동을 유형화하고 인프라 구축 및 지원 방안 제안 · 교육과정내의 학습활동 뿐만 아니라, 교육공동체의 생활요소가 포함된 학습활동으로 유형화함 · 생활속 활동까지를 포함하는 학습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미래학습환경의 인프라 구축 방안을 제안함 - 미래학교·미래교실 인프라 구축을 위한 학습활동의 종합적인 유형 정리 및 인프라 반영 요소 제안 · 교육과정내 학습활동 유형에 따른 미래학습환경 인프라 구축방안 제안 · 교육과정 밖 생활속 활동을 교육과정과 연계하고 지원하기 위한 미래학습환경 인프라 구축방안 제안 · 교육과정 안과 밖의 학습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미래학습환경의 기본 요소 제안 나. 최신-첨단의 에듀테크, 학습용 인프라 설비 적용 가이드라인 정리 - 학습 활동 유형에 따른 인프라의 실제적 구축을 위한 가이드 라인(안전 관련 유의사항, 물품명, 예산 범위, 유지보수 및 교내 전산망 연결 등) 작성 · 교육과정 안과 밖의 학습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미래학습환경 인프라 구축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안 - 학교급별, 구축 단계(기존 설비 및 공간 재구조화, 증·개축, 신설 등의 단계)에 따른 인프라 구축 사례 분석 및 방안 제시 · 학교급별, 구축단계별 인프라 구축 사례 제시 다. 미래학교-미래교실 인프라 구축 방안 수립 - 학습 활동의 분석을 기반으로 구체적인 교육 인프라 구축 방향 및 방안 제시 · 미래학습환경 내에서 발생하는 학습활동 분석 결과를 활용하는 미래학습환경 인프라 구축 방안 제시 - 학습 활동 유형에 따른 인프라 구축 방향을 정립하고 그에 따른 인프라 구축 가이드라인을 기존 학교시설 활용안부터 기자재 신규 도입 및 시설 신축 과정에 이르는 단계별 과정으로 제안 · 교과유형별 학습활동 분석을 위한 인프라 구축 방향 제시 · 교과유형별 학습활동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활용하기 위한 미래학습환경 인프라 구축 방향 제시 · 미래학습환경 구축에 필요한 핵심 기자재와 단계별 도입 계획 제안 - 제안 인프라 활용 수업 운영 시나리오 작성 · 미래학습환경 인프라를 활용하는 교과유형별 수업운영 시나리오 제시 - 구축 공간 및 인프라의 지속가능한 활용 방안 제시 · 거점센터로 구축될 센터를 일반 학교에서 활용하는 방안을 포함하는 지속가능한 활용방안 제시 |
||
이전글 | [2019_05] 4차 산업혁명기술을 활용한 교육불평등 완화 및 교육비 부담.. | |
다음글 | [2020_02] 학교 밖 자원을 활용한 디지털 학습 생태계 조성 |